반응형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시스템의 복잡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아키텍처 모델이 사용됩니다. 그중 4+1 View Model은 시스템을 다섯 가지 관점(View)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방법론으로,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4+1 View Model이 무엇인지, 각 View의 역할과 실제 적용 사례를 알아보겠습니다.
1. 4+1 View Model의 개념
정의
4+1 View Model은 Phillipe Kruchten이 제안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모델로, 복잡한 시스템을 이해하고 설계하기 위해 다음 다섯 가지 관점을 제공합니다:
- Logical View
- Development View
- Process View
- Physical View
- Scenarios (Use Case View)
이 모델의 목표는 시스템을 다양한 관점에서 설명하여 이해도를 높이고, 개발 및 운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해결하는 데 있습니다.
2. 각 View의 역할
1) Logical View (논리적 관점)
무엇을 설명하나?
- 시스템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모델링합니다.
- 사용자가 시스템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초점을 맞춥니다.
주요 표현 방법:
- 클래스 다이어그램
- 객체 다이어그램
대상:
- 소프트웨어 설계자와 개발자
2) Development View (개발 관점)
무엇을 설명하나?
- 소프트웨어의 모듈화 및 컴포넌트 구조를 설명합니다.
- 개발자가 코드를 어떻게 구성할지 보여줍니다.
주요 표현 방법:
- 컴포넌트 다이어그램
- 패키지 다이어그램
대상:
- 개발자와 테스트 팀
3) Process View (프로세스 관점)
무엇을 설명하나?
- 시스템의 동작과 성능을 설명합니다.
- 프로세스 간의 상호작용과 병렬 처리, 동시성 문제를 다룹니다.
주요 표현 방법:
- 활동 다이어그램
- 시퀀스 다이어그램
대상:
- 시스템 아키텍트와 성능 엔지니어
4) Physical View (물리적 관점)
무엇을 설명하나?
- 시스템의 물리적 배포 구조를 설명합니다.
-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하드웨어 환경을 다룹니다.
주요 표현 방법:
- 배포 다이어그램
-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대상:
- 운영 팀과 네트워크 관리자
5) Scenarios (Use Case View)
무엇을 설명하나?
- 앞선 네 가지 관점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 주요 유스케이스(시나리오)를 통해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합니다.
주요 표현 방법:
-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대상:
- 모든 이해관계자
3. 4+1 View Model의 장점
- 포괄적 이해: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여 시스템의 모든 측면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효율적 커뮤니케이션: 개발자, 아키텍트, 운영 팀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지원합니다.
- 문제 예방: 설계 단계에서 잠재적인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재사용성: 구조화된 설계를 통해 모듈의 재사용성을 높입니다.
4. 실제 적용 사례
예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 Logical View:
- 제품 검색, 장바구니, 결제 등 기능을 클래스 다이어그램으로 표현.
- Development View:
- 프론트엔드, 백엔드, 데이터베이스 등 컴포넌트로 구성.
- Process View:
- 사용자 요청 처리, 백엔드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간 상호작용.
- Physical View:
- AWS와 같은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배포 구조 설명.
- Scenarios:
- "사용자가 상품을 검색하고 장바구니에 추가한 후 결제까지 완료"하는 과정.
5. 결론
4+1 View Model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각 관점을 통해 시스템의 구조와 동작을 명확히 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협업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면 복잡한 시스템도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습니다.
지금 여러분의 프로젝트에 4+1 View Model을 적용해보세요!
반응형
'IT 기술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ven과 Gradle이란? (1) | 2024.12.22 |
---|---|
Kubernetes -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의 핵심 (2) | 2024.12.22 |
OAuth 2.0와 JWT(JSON Web Token) 동작방식과 장단점 비교 (0) | 2024.12.22 |
MSA(Microservice Architecture)란? (1) | 2024.12.22 |
Git의 명령어 사용법 init clone add commit push pull (2) | 2024.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