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WS를 사용하셨다고 했는데, 서비스에 트래픽이 몰릴 때는 어떻게 처리하셨나요?
네, 트래픽 처리를 위해 Auto Scaling과 Application Load Balancer(ALB)를 사용했습니다.
EC2 인스턴스는 Auto Scaling Group에 묶어서 CPU 사용률이 70% 이상일 때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확장하도록 설정했고, 요청은 ALB가 여러 인스턴스로 분산시켰습니다.
Auto Scaling 설정은 어떤 기준으로 구성하셨나요?
CloudWatch를 사용해서 CPU 사용률이 70% 이상이면 인스턴스를 1개 추가하고, 30% 이하로 5분 이상 유지되면 1개를 줄이도록 설정했습니다.
초기에는 요청 수(RequestCount)를 기준으로 했는데, CPU 기준이 좀 더 안정적이어서 바꾸게 되었습니다.
로드 밸런서는 어떤 종류를 사용하셨고, 이유는 무엇인가요?
ALB(Application Load Balancer)를 사용했습니다.
HTTP/HTTPS 기반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고, 경로를 기반으로 라우팅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DB 트래픽은 어떻게 분산했나요?
RDS를 이용했는데, 읽기 전용 복제본(Read Replica)을 만들어서, 조회 쿼리는 이 복제본으로 분산시켰습니다.
또 Redis를 ElastiCache로 구성해 자주 조회되는 데이터(예: 상품 목록, 카테고리 등)는 캐싱했습니다.
반응형
'취준생대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신러닝에서 실제 데이터에서 성능이 안좋다면? - 면접질문 (0) | 2025.03.25 |
---|---|
머신러닝의 성능평가는 어떻게 했나요? - 면접질문 (0) | 2025.03.25 |
Restful API 에 대해서 설명하세요 - 면접질문 (0) | 2025.03.17 |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이 뭔가요? 그리고 왜 사용할까요? - 면접질문 (0) | 2025.03.17 |
자바의 클래스 상속에 대해서 설명하세요 - 면접질문 (1)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