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성형 AI 활용하기

GitHub MCP Server - 설치 방법과 기본 기능

반응형

GitHub MCP Server: AI 에이전트의 GitHub 직접 연결 시대가 왔다

개발 생산성 도구들이 진화하고 있는 가운데, AI 도구와 GitHub을 연결해주는 GitHub MCP Server가 등장했습니다. 이 도구는 단순한 코드 추천을 넘어, AI가 GitHub 내 코드, 이슈, PR, 워크플로우에 직접 접근하고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GitHub MCP Server란?

GitHub MCP Server는 VS Code, Cursor, Claude 같은 MCP(Multimodal Command Platform) 호스트에 설치해 사용하는 서버입니다. 이를 통해 Copilot 같은 AI 에이전트가 GitHub 저장소를 자연어로 탐색하고, 수정하고, 운영할 수 있게 해줍니다.

더 이상 "이 파일 어디 있더라", "이슈 만들기 귀찮네", "CI 왜 또 실패했지?" 같은 고민은 줄어듭니다. AI가 대신 탐색하고 보고하며, 원하는 작업도 대신 처리해줍니다.


좋습니다! 아래는 GitHub MCP Server를 처음 설치하는 사람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자세하고 단계별로 정리한 설치 가이드입니다. 특히 실무 개발자나 AI 에이전트를 처음 사용하는 분들을 고려했습니다.


GitHub MCP Server 설치 가이드 (처음 사용자용)

GitHub MCP Server를 설치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VS Code에서 Remote 서버를 설치하는 방식입니다. 이 외에 로컬에서 Docker로 설치하는 방법도 함께 소개합니다.


✅ 설치 전 준비물 (공통)

1. VS Code 설치

2. GitHub 계정

3. GitHub Personal Access Token (PAT)

이건 "AI가 GitHub에서 내 계정으로 작업해도 된다"는 열쇠입니다.

  1. 여기로 이동
  2. "Generate new token (fine-grained)" 클릭
  3. 토큰 이름 입력 (예: mcp-token)
  4. 유효 기간 설정 (예: 30일)
  5. Read/Write 권한 부여 (repo, workflow, notifications 등)
  6. 토큰 생성 후 복사 – 한 번만 보여주므로 꼭 복사!

🔹 방법 1: Remote GitHub MCP Server 설치 (추천)

🚀 VS Code에서 원클릭 설치

  1. VS Code 열기
  2. 왼쪽 하단 "Copilot Chat" 창에서 톱니바퀴 아이콘 클릭 → “Agent 모드” 켜기
  3. "설정" 창 또는 확장 프로그램 설치에서 MCP Server 옵션 선택
  4. 아래 JSON을 설정에 복사:
{
  "servers": {
    "github": {
      "type": "http",
      "url": "https://api.githubcopilot.com/mcp/",
      "headers": {
        "Authorization": "Bearer ${input:github_mcp_pat}"
      }
    }
  },
  "inputs": [
    {
      "type": "promptString",
      "id": "github_mcp_pat",
      "description": "GitHub Personal Access Token",
      "password": true
    }
  ]
}
  1. 저장 후, VS Code 하단에 Agent 모드가 활성화되면 성공!

🔹 방법 2: Local GitHub MCP Server 설치 (Docker 사용)

인터넷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보안상 로컬에서 서버를 직접 운영하고 싶은 경우 사용

🐳 1. Docker 설치

🔐 2. GitHub Personal Access Token 생성 (위 참고)

🧰 3. 서버 실행 커맨드

docker run -i --rm \
  -e GITHUB_PERSONAL_ACCESS_TOKEN=<당신의_토큰> \
  ghcr.io/github/github-mcp-server

✅ 팁: <당신의_토큰> 자리에 실제 토큰을 복사해서 붙여넣기


🧠 설치 후 확인

설치가 제대로 되었다면, VS Code의 Copilot 창에서 다음과 같은 기능이 작동합니다:

  • “이 코드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부분 분석해줘”
  • “이슈 목록 보여줘”
  • “이 저장소에서 최근 PR 상태 알려줘”

💡 자주 묻는 질문 (FAQ)

Q. 토큰은 어디에 입력하나요?

  • VS Code 설정창에 자동으로 입력창이 뜹니다.
  • 또는 .vscode/settings.json에 직접 입력해도 됩니다.

Q. 설치 후 아무 반응이 없어요!

  • Agent 모드가 켜져 있는지 확인하세요.
  • VS Code가 최신 버전인지 확인하세요.
  • 터미널에서 docker ps로 Docker가 제대로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하세요.

어떤 기능들이 있나?

1. 코드 및 저장소 탐색

  • 저장소 구조 파악
  • 커밋 분석
  • 코드 파일 검색
  • PR 변경점 확인
  • 보안 경고나 의존성 업데이트도 추적 가능

예: “이 저장소에서 logging 관련 함수가 어떻게 쓰이는지 보여줘”

2. 이슈 & PR 자동화

  • 이슈 생성 및 댓글 작성
  • PR 리뷰, 병합, 상태 확인
  • Draft PR 생성이나 멘션도 가능

예: “이 버그에 대한 이슈를 만들어줘” → 이슈 생성과 할당까지 자동 처리

3. CI/CD & 워크플로우 분석

  • GitHub Actions 워크플로우 실행 상태 조회
  • 빌드 실패 원인 분석
  • 배포 상태 점검 및 알림

예: “최근 빌드 실패 원인 알려줘” → 실패한 step 로그를 자동 요약

4. 협업 및 알림

  • 팀 활동 분석
  • Discussions 접근
  • Notification 관리

예: “지금 해결 안된 PR 리뷰 요청만 보여줘”


유용한 활용 예시

  • 에이전트가 매일 PR 리뷰 상태 요약해주는 봇 만들기
  • CI 실패 시 Slack에 자동 요약 보고하는 알림 챗봇 개발
  • 보안 점검 결과를 자동 수집해 분석하는 프로젝트 지원 도구

현재 GitHub MCP Server는 Public Preview 단계입니다. 일부 기능은 GitHub Copilot Editor Preview 정책이나 PAT 정책에 따라 제한될 수 있지만, 충분히 실무에 적용해볼 만한 가치는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