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피터 노트북이나, 구글 colab 에서 캐글(kaggle)이 API 를 사용하여, 데이터셋 가져 오는 방법
1. 캐글 사이트에 로그인 한 후, 오른쪽 프로필 아이콘을 누른다.
2. Account 버튼을 누른다.
3. 중간 쯤에, API 항목이 있다. 여기서 Create New API Token 버튼을 눌러서, kaggle.json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위의에 kaggle.json 파일을 다운로드 받았으면, 이제 캐글 사이트는 닫아도 된다.
이제는, 주피터 노트북이나 구글 Colab에서, 캐글의 API 를 사용할 수 있도록 아래처럼 셋팅한다.
4. 아래처럼, 주피터 노트북이나 구글 Colab에서, 캐글을 사용할 수 있도록 셋팅한다.
5. 위의 3번에서 다운로드 받은, kaggle.json 파일을 업로드 하기 위해, 아래처럼 실행한다.
6. 아래처럼 실행하면, 캐글의 데이터셋 리스트를 볼 수 있다.
7. 원하는 데이터셋을 다운로드 받고, 압축을 풀어준다.
8. 코랩의 경우는, 아래 그림처럼, 코랩 왼쪽 폴더 아이콘을 클릭하면, 위의 데이터셋 압축파일을 푼 폴더를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Data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프레임 기본 조작 : 행선택, 열선택, 인덱싱, 슬라이싱 (0) | 2024.08.01 |
---|---|
데이터 전처리 기법: 결측치(NaN) 처리와 이상치(Outlier) 탐지 (0) | 2024.08.01 |
파이썬으로 OpenAI GPT-3 사용하기 (0) | 2024.08.01 |
서울시 강서구 공동 주택 현황 데이터 분석 (20230905) (0) | 2023.09.08 |
날씨 데이터 분석 GlobalWeatherRepository (0) | 2023.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