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ount 2

파이썬 리스트(Python List) count() 와 len()

1. 찾고자 하는 항목이, 파이썬의 리스트에 몇개나 들어있는지 확인하는 count 함수 아래 예에서, fruits 리스트에 Mango 는 2개, Banana 는 1개가 들어있고, Guava 는 들어있지 않다. 따라서 내가 찾고자 하는 값이, 리스트에 몇개나 들어있는지 확인하고자 할때, 리스트 변수에 점( . )을 찍고 count() 함수에 원하는 값을 넣어주면 된다. (아래에서 리스트변수는 fruits 이므로 fruits.count('Mango') 로 사용했다.) 2. 리스트의 전체 갯수 세기 : 리스트에 저장된 항목이 전부 몇개인지 확인하는 len() 함수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는 항목이 몇개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함수로서, 파이썬 내장 함수이므로, 그냥 len 괄호 안에, 리스트 변수를 넣어주면 ..

Python 2019.10.04

파이썬 문자열 바꾸기, 길이, 위치 찾기, 개수 : replace, len, find, rfind, count

문자열 바꾸기 파이썬 replace() 함수 아래 예에서, 'z' 대신에 'q' 로 바꾼다. 또한 문자열을 바꿀 수도 있다. 'ijk' 를 ' hello '로 바꾼다. 이때, 원본 문자열은 절대 바뀌지 않는다. 문자열 길이 구하기 파이썬 len() 함수 len() 함수를 사용하여 몇개의 문자로 되어있는지 문자열의 개수를 알 수 있다. len 함수를 이용해서 문자의 갯수를 파악하는데, 이때 주의할 점은, 공백이 포함되어 있으면, 공백도 하나의 문자로 갯수를 센다. 따라서 ex_str 의 문자 앞과 뒤에 공백이 하나씩 있고, hello와 world 사이에도 공백이 있으므로, 총 13글자가 된다. 찾고자 하는 문자열의 위치를 찾는 파이썬 find() 함수, rfind() 함수 예제에서, qui 라는 문자열의 ..

Python 2019.09.26
반응형